[최성덕 칼럼]생산자책임재활용(EPR)제도는 누굴 위한 것인가?

최성덕 전투기소음피해보상운동본부 상임대표 | 기사입력 2024/10/21 [18:48]

[최성덕 칼럼]생산자책임재활용(EPR)제도는 누굴 위한 것인가?

최성덕 전투기소음피해보상운동본부 상임대표 | 입력 : 2024/10/21 [18:48]

[시사우리신문]과거에는 생산자들은 제품을 판매하면 그 이후에 발생하는 폐기물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고 전부 소비자에게 전가했다.

 

▲ 최성덕 윤사모중앙회 회장/ 공학박사     ©시사우리신문편집국

하지만 지금은 사용 후 발생하는 폐기물의 재활용까지 생산자가 책임을 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한 것이 생산자책임재활용(EPR :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제도이다.

 

이 제도는 제품생산자는 포장재를 이용한 제품의 생산자에게 그 제품이나 포장재의 폐기물에 대하여 일정량의 재활용 의무를 부여하고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재활용에 드는 비용 이상의 재활용 부과금을 생산자에게 부과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제도가 대체로 잘 이행되고 있으나 폐타이어만큼은 열외가 되는 것이 문제이다.

 

폐타이어는 재활용 대상이지만 환경부의 미온적인 관리 감독으로 온 산천에 폐타이어가 방치되고 있어 이 제도를 무색하게 하고 있다.

 

현재 타이어 제조사들은 EPR 제도를 비웃으면서 악용하고 있어 사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최근 언론에서는 연일 타이어 제조사와 수입업자 및 환경부가 EPR 제도를 잘 이행하지 않는다고 뭇매를 가하고 있다.

 

타이어에 대한 EPR 제도는 소비자인 차량 운전자가 차량을 구매할 때 이미 폐타이어 재활용 처리 비용을 부담하고 있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타이어 제조회사와 수입사들이 폐타이어 회수 및 재활용 책임을 지지 않고 있어 소비자들에게 3중으로 처리 비용을 전가하고 있는 것이 문제점이다.

 

앞서 밝혔듯이 차량 구매 시에 부담하고 카센터 등에서 타이어를 교체할 때도 부담하고 있다.

 

타이어 한 짝당 지방에서는 약 5천 원, 수도권에서는 약 2~3만 원씩 부담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다가 각 지자체에서는 방치되고 있는 폐타이어를 국민 혈세로 수거하고 있다. 이것도 국민 부담이다.

 

참으로 기가 찬 일이 아닐 수 없다. 이 사실을 소비자인 국민은 전혀 모르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전국 253개 시군구에서 실태조사를 한 바에 의하면 방치된 폐타이어가 연간 900여 톤에 이르고 있다.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약 315억이나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것은 폐타이어에 대한 EPR 제도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환경부 훈령 제1568호 지침인 별지 제2호 서식에 규정하고 있는 세부 품목에 타이어가 빠졌기 때문이다.

 

세부 품목에 타이어가 적시되면 소비자가 3중으로 부담해야 할 이유가 없다. 환경부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이러한 법적인 미비점을 교묘히 이용하는 타이어 제조사와 수입업자들만 꿩 먹고 알 먹고 있는 격이다.

 

현실이 이러한데 왜 환경부는 지금까지 방치하고 있는지 그 이유를 밝히기를 촉구한다.

 

모르고 있다면 이것도 문제지만 알고 있으면서 이를 방치하고 있는 것은 생선가게를 고양이에게 맡겨 놓은 꼴로 환경부가 직무유기하고 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폐타이어 관련 담당자들을 엄중히 문책해야 할 것이다.

 

이런 사실을 국민이 알게 된다면 분기탱천할 일이 아닐 수 없다.

 

환경부 지침에 따라 폐타이어 분리수거량을 조사한 후 재활용하도록 하면 이는 얼마든지 소비자들이 3중 부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당달봉사라도 알 수 있는 일을 환경부가 방치하고 있는 것은 환경부가 타이어 제조사와 수입업자들의 뒷배를 봐주고 있다는 의혹을 지울 수 없다. 이런 의혹을 받지 않으려면 단호한 조치를 하기 바란다.

 

어떤 일이 있어도 폐타이어 처리비는 제조사와 수입업자가 부담하도록 해야지 국민이 3중으로 부담하게 하거나 국민 혈세로 처리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환경부의 물렁물렁한 EPR 제도 운용 때문에 타이어 제조사와 수입업자의 입가에 웃음이 떠나지 않고 있다.

 

폐타이어 처리를 관장하고 있는 곳은 타이어 제조사들이 출자하여 결성한 대한타이어산업협회(공제조합)이다.

 

이 협회의 회장은 국내 굴지 타이어 제조사인 금호, 한국, 넥센 타이어 대표들이 번갈아 가면서 역임하고 있다.

 

이것도 개선해야 한다. 회장은 시민단체와 외부 전문가들이 맡도록 해야 제조사들이나 수입업자들을 견제할 수 있을 것이다.

 

타이어 분담금은 자신들이 납부하고 자신들이 관리하고 있어서 협회 운영상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므로 제도적인 보완책이 절실하다.

 

협회의 운영상의 문제점을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 폐타이어는 유가성이 있다고 재활용을 무상 위탁으로 계약을 강제하고 있는 점 ▶ 무상 위탁계약을 체결하지 않으면 물질 재활용 업체에 폐타이어를 공급해 주지 않는 점 ▶폐타이어 운반업체에게 운반 거리가 멀든 가깝든 상관하지 않고 십여 년간 톤당 3만 5천 원만 지급하고 있는 점인데 이런 터무니 없는 운반비 때문에 운송업자들은 아무 데나 유기하고 있는 점 ▶ 타이어 제조사들은 폐타이어 재활용 업체와 무상 위탁계약을 체결하여 환경공단으로부터 재활용 의무 분담금을 외부 재활용에 비례한 금액을 분담금에서 공제받고 있는 점 ▶ 타이어 제조사는 폐타이어에 대해 대한타이어산업협회(공제조합)에 분담금을 납부하지 않는 점 ▶ 함량이 오버된 분철을 제강, 제련 공장에서 사용해도 방치하고 있는 점 등이다.

 

자원 재활용법 제16조에는 중소기업에 부당하게 체결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이를 지키지 않고 있다.

 

이렇게 제조사들은 폐타이어 EPR 제도의 허점을 교묘히 악용하고 있어도 환경부에서는 방치하고 있다. 1년에 한 번이라도 협회에 대한 감사를 제대로 하면 시정될 수 있는 문제점인데도 환경부는 직무유기하고 있어서 EPR 제도가 유명무실해지고 있다고 단언한다.

 

대한타이어산업협회(공제조합)의 전횡에 대하여 환경부는 철저한 관리 감독을 하여 시정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금호, 한국, 넥센타이어는 영세 중소기업 재활용 업체에 피를 빨아 먹는 흡혈귀라고 규탄하고 있는 환경단체의 목소리를 깊이 새겨듣기를 바라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망각하지 말 것을 촉구하는 바이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네트워크배너
서울 인천 대구 울산 강원 경남 전남 충북 경기 부산 광주 대전 경북 전북 제주 충남 세종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