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병묵 교수,수학모델을 적용해 티라노사우루스의 생명표 비교분석으로 공룡과 조류의 유사성 입증

"인간의 노화 과정을 이해하거나, 암환자, 암세포 등의 특수하고 중요한 실험군의 생존 전략을 이해하는데 매우 도움이 될 것"

안기한 기자 | 기사입력 2016/01/23 [22:37]

원병묵 교수,수학모델을 적용해 티라노사우루스의 생명표 비교분석으로 공룡과 조류의 유사성 입증

"인간의 노화 과정을 이해하거나, 암환자, 암세포 등의 특수하고 중요한 실험군의 생존 전략을 이해하는데 매우 도움이 될 것"

안기한 기자 | 입력 : 2016/01/23 [22:37]

공룡은 왜 거대한 몸집을 가졌을까? 어떻게 최상위 포식자가 되었을까? 공룡도 노화를 겪었을까? 공룡에게는 아직도 풀리지 않는 의문이 많다.최근 과학자들은 공룡 화석의 뼈 절단면에서 미세구조에 새겨진 나이테를 조사하여 공룡이 얼마나 빨리 성장하였고 언제까지 살았는지 알아낼 수 있었다. 플로리다 주립대 고생물학자인 에릭슨 교수는 2006년 사이언스 논문에서 티라노사우루스의 나이와 수명을 재조합하여 최초로 티라노사우루스의 생명표를 완성하였고 놀랍게도 공룡의 생존율 곡선이 인간과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에는 아직 풀리지 않은 의문이 남아 있었다.성균관대 원병묵 교수가 수학모델을 적용, 티라노사우루스의 생명표 비교분석을 통해 공룡과 조류의 유사성을 입증했다.이번 연구결과는 1월 21일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Nature)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발표되었으며 고생물학자가 아닌 공학자에 의해 밝혀진 점도 흥미를 끈다.원병묵 교수는 인간의 생명표를 해석하는데 활용한 수학 모델을 적용하여 티라노사우루스의 생명표를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는 통계 분석법을 개발했다. 이에 시사우리신문은  원병묵 교수를 만나 연구배경에 대해 들어봤다.-편집자 주-

 

 

▲ 원병묵 교수     © 시사우리신문편집국


연구를 시작한 계기나 배경은?

 

원교수는 2002년 최초로 ‘수정된 늘어진 지수함수’를 개발하여 인간의 생명표와 노화 패턴을 해석하는데 적용해 왔으며, 이 함수를 활용하여 2006년 발견된 티라노사우루스의 생명표로 부터 공룡의 정확한 생존율 곡선을 해석하고자 했습니다.

 

연구 전개 과정에 대한 소개를?

 

본 연구를 단독으로 수행한 성균관대학교 원병묵 교수는 2006년 에릭슨 교수의 생명표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를 정리하여 새로운 결과를 밝혀낼 수 있었으며, 이 연구는 고생물학의 세 분의 석학들에 의해 검토를 받고 최종 게재 승인이 되었습니다.

 

연구하면서 어려웠던 점이나 장애요소가 있었다면 무엇인지? 어떻게 극복(해결)하였는지?

 

연성물질의 물성을 연구하는 원교수가 고생물학 주제를 연구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며 새로운 분야를 공부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수학 모델의 적용과 해석은 매우 정확하기 때문에 해당 분야의 전문가로부터 동의와 인정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 티라노사우루스 렉스와 인간의 크기 비교     ©시사우리신문편집국

이번 성과, 무엇이 다른가?

 

기존의 수학 모델은 공룡의 생명표를 정확히 해석하는데 한계가 있었음. 겉보기로 인간과 공룡의 생명표가 유사한 것은 맞지만 정확한 비교 분석을 하여 차이를 명확하게 해석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수학 모델이 적합했습니다.

 

꼭 이루고 싶은 목표와, 향후 연구계획은?

 

이번 연구를 통해 새로운 수학 모델을 다양한 생물종에 적용하여 생존 전략과 노화 패턴을 이해하는데 강점이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특히 이를 확대하여 인간의 노화 과정을 이해하거나, 암환자, 암세포 등의 특수하고 중요한 실험군의 생존 전략을 이해하는데 매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기타 특별한 에피소드가 있었다면?

 

공학자가 공룡에 관한 연구를 하면 매우 이상한 것으로 보일지 모른다. 이 연구를 한국물리학회에서 처음 발표를 했었는데 의외로 호응이 좋았다. 용기를 얻어 논문 투고까지 하고 해당 분야의 전문가 세 분에게서 리뷰를 받고 연구 가치를 인정받았다는 것이 매우 기쁘며, 앞으로도 창의적인 연구를 도전해 볼 수 있는 사례가 될 것이라 기대합니다.

▲ 티라노사우루스의 생존율 분석. 알베르토사우루스의 생존율 추이는 고릴라, 호랑이, 악어, 18세기 인간과 매우 다르며, 타조, 매 등의 몸집이 큰     ©시사우리신문편집국

 

원병묵 교수(교신저자) 이력사항

 

학력  

1993 - 1997 : 성균관대학교 금속공학과 학사        

1997 - 1999 : 포항공과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석사   

2005 - 2008 : 포항공과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박사 

경력사항  

1999 - 2005 : LG.Philips Displays 선임연구원  

2008 - 2010 : 하버드대학교 물리학과 박사후연구원  

2010 - 2013 : 포항공과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연구조교수  

2013 - 현재 : 성균관대학교 신소재공학부/나노과학기술학과 조교수  

2013 - 현재 : 사이언티픽 리포트 편집위원

전문 분야 정보  

○ 연성물질물리 / 생물노화 / 엑스선 현미경 / 콜로이드 및 나노유체

연구지원정보 

 ○ 2013년 ~ 2016년 : 미래창조과학부 중견연구자지원사업 (핵심/융합)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네트워크배너
서울 인천 대구 울산 강원 경남 전남 충북 경기 부산 광주 대전 경북 전북 제주 충남 세종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